본문 바로가기
주식종목 이야기

알테오젠 주가전망

by 쑥짱 2025. 4. 12.

알테오젠 주가전망과 글로벌 제약사 계약 총정리 : ALT-B4 플랫폼의 진짜 가치

최근 글로벌 관세 이슈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바이오주 전반이 흔들렸고, 알테오젠 역시 한때 급락세를 겪었습니다. 하지만 코스닥 시총 1위 바이오답게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죠. 오늘(2025년 4월 11일) 기준 알테오젠의 주가는 374,500원으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여전히 강하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바로 알테오젠이 보유한 핵심 플랫폼 기술, ALT-B4 때문입니다.


ALT-B4란?

 

ALT-B4는 기존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로 전환해주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환자의 치료 편의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여주며, 바이오의약품의 투여 방식 혁신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이 가진 잠재력을 알아본 글로벌 빅파마들이 앞다투어 알테오젠과 수조 원대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 현황 총정리

 

알테오젠은 지금까지 머크(MSD), 아스트라제네카(AZ), 산도즈, 다이이찌산쿄세계 유수의 제약사들과 굵직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체결 사항을 아래 표로 한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약사 계약 시점 총 계약 규모
(추정)
주요 품목 특이사항
머크
(MSD)
2024년 3월 약 1조 5천억 원 이상
+로열티수익
키트루다 SC 전환 (면역항암제) 독점 계약 변경, 2040년까지 계약 연장
산도즈
(Sandoz)
2024년 7월 미정
(다수 파이프라인 포함)
바이오시밀러 다수 향후 개발되는 물질까지 포함한 포괄 계약
다이찌산쿄 2024년 11월 4,280억 원
+ 로열티 수익
엔허투(ADC) SC 제형 ADC 항암제약사와  첫 계약,
향후 글로벌 확장 가능성 있음
AZ
(아스트라제네카)
2025년 3월 약 2조 원 이상 임핀지 외
다수 항암제 SC 전환
복수 면역항암제 대상,
볼루스토미그 등도 포함 예상
 
 
 

2020년 머크와 첫번째 계약 체결 이후,  2024년에 비독점 → 독점 계약으로 변경되며 계약 기간도 2040년까지로 연장됐습니다. 이는 머크가 ALT-B4 기술을 강력하게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머크의 블록버스터 항암제 키트루다는 연 매출이 20조 원이 넘는 제품이므로, 피하주사 전환 시 연간 수백억 원 규모의 로열티 수익 기대됩니다.

 

2022년 산도즈 역시 이전에 체결했던 계약을 해지하고,  향후 개발되는 물질까지 포함한 포괄계약을 알테오젠과 다시 진행했습니다.

 

엔허투는 최근 차세대 항암제 불리는 ADC 항암제를 가장 많이 팔고 있는  제약사로~  ADC항암제를 SC제형으로 바꾸는 계약을  체결했고,

 

아스트라제네카(AZ) 역시  자신들의 신약물질에  ALT-B4의 플랫폼을 적용하는 계약을 이번에 체결했습니다. 

 


투자 리스크는 없을까?

물론 기대만큼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1. 수익 실현까지의 시간차: 계약은 완료됐지만 아직 다수의 품목이 임상 또는 사전 개발 단계이므로, 실제 매출 반영까지는 시간이 소요됩니다.
  2. 경쟁 기술 존재: 미국의 할로자임(Halozyme)처럼 SC 전환 기술을 가진 경쟁사도 있어, 특허 소송같은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시가총액 고평가 논란: 실적 대비 시총이 높다는 일부 시각도 존재하지만,  아직은 초기단계라서, 예상수익만 있을뿐  실적에는 반영되질 않고 있습니다. 향후,  예상수익들이  실적에 반영되어 가는지를  확실히  확인해야 합니다. 

주가전망: 단기~장기까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

알테오젠 일봉차트

📌 1. 단기 전망 (1~3개월: 2025년 2분기)

🔍 현재 상황 요약

  • 최근 글로벌 관세 이슈 등 대외 변수로 바이오주 전반 약세.
  • 알테오젠도 35만 원 초반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기술적 반등 중.
  • 374,500원은 전고점 부근이자 38만 원 저항선 직전 구간.

📈 단기 주가 흐름 분석

  • 수급 측면에서는 기관 매수세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고,
  • 기술적으로 이평선 정배열 전환, 거래량 동반 상승 흐름.
  • 하지만 38만 원 ~ 39만 원 구간은 강한 매물대라 일시적 저항 가능성.

단기 전략:

보유자는 분할 익절 가능 / 신규 진입자는 조정 시 36만 원 초반에서 매수 유리

단기 고점은 38만에서 39만 예상~ 조정시 35만 원 지지 여부 중요

 


📌 2. 중기 전망 (6개월 내외: 2025년 하반기 초~중반)

🔍 중기 상승 모멘텀

  • ALT-B4 기술이 실제 신약에 적용되며 기술 가치가 매출로 가시화되는 초기 구간.
  • 바이오 섹터에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기관/외인 자금이 알테오젠을 타깃할 가능성 큼.

📈 중기 주가 흐름 예측

  • 심리적 저항선이었던 40만 원 돌파 가능성 존재.
  • 신약 SC 임상 진입 뉴스 시 강한 돌파세 가능 (특히 AZ 항암제 관련).

중기 목표 구간:

42만 원 ~ 46만 원

2025년 3분기 중 호재(임상 1상, 로열티 수취 시작 등) 발표 여부가 핵심 변수

 


📌 3. 장기 전망 (1~2년: 2025년 말 ~ 2026년)

🔍 장기 핵심 변수

  • ALT-B4 기술이 적용된 실제 제품 상용화/로열티 수취 본격화 시점.
  • 2026년~2027년까지 MSD, AZ, 다이치산쿄의 주요 항암제에 SC 전환이 적용될 경우,
  • 연간 수천억 원대의 로열티 수익 발생 가능성이 존재.
  • 알테오젠은 단일 제품이 아닌 플랫폼 수익 모델이라 확장성이 매우 큼.

📈 장기 주가 시나리오

  • 실적 기반 재평가를 받게 될 경우, PER 기준이 아닌 플랫폼 가치로 재평가될 가능성.
  • 현재 코스닥 상장사 중 시총 1위인데, 거래소 이전(이전상장) 가능성도 중장기 모멘텀.

장기 목표가 (2025년 말~2026년 초 기준):

보수적 시나리오: 48만~52만 원

공격적 시나리오: 60만 원 돌파 시도 (임상 2~3상 진입 + 조기 제품화 가시화될 경우)

 

 

 


마무리: 알테오젠은 ‘기술 플랫폼 기업’이다

알테오젠은 단순한 바이오 개발사가 아닙니다. 세계 유수의 제약사들이 신약과 바이오시밀러를 SC로 전환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플랫폼 보유 기업입니다.  ALT-B4는 기존 제품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기술이며, 알테오젠의 수익 구조는 단일 파이프라인이 아닌, 다수의 글로벌 계약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안정적입니다.

앞으로의 실적 가시화 여부가 관건이지만, 리스크 관리만 잘 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에서 글로벌 빅파마 될 수 있는  유망한 기업이 분명합니다.

반응형

'주식종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투 주가전망  (1) 2025.04.14
한화시스템 주가전망  (1) 2025.04.13
에이비엘 바이오 주가전망  (0) 2025.04.10
미 알래스카 LNG 관련 수혜주 및 주가전망  (1) 2025.04.09
카페24 주가 전망  (1) 2025.04.09